1. 과제 개요

1차 과제와 비슷하게 카카오 API에 GET요청을 보내고, 받아온 응답을 파싱해서 출력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차과제와 다른 점은 데이터베이스에 연동하여 저장하는 부분이 추가되었다.
2. 느낀점

1차 과제에서는 어떻게 기능별로 인터페이스를 분리해야 할지가 정말 어려워서, 전체적인 동작 분기별로 나눴던 것 같다. 1차 과제때는 객체지향이라고 하기 부끄러울만큼 허접스러운 설계를 했다면 2차과제에서는 멘토님이 알려주신 방법을 적용해보기 위해 노력했다.
행위 식별 -> 행위에 필요한 데이터 식별 -> 행위를 담당할 객체 식별 -> 클래스 작성
의 순서대로 프로그래밍을 해야한다고 조언을 해주셨다. 무작정 클래스 파일부터 만들고 키보드를 두드리던 나를 반성하게 됐다...
3. 개선해야 할 점
개선해야 할점은 단연코 예외처리라고 말할 수 있다. 나는 이전에 널 체크를 자주 하지 않고, 당연히 값이 잘 들어왔겠지 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멘토링을 하고 나서 꼼꼼한 체크가 정말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API가 응답해준 값이라고 정확하게 모든 값이 들어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널 체크를 안한다던가 하는 자세는 아주 좋지 못한 태도라고 생각한다. 예외처리를 어떻게 잘 할 수 있는지 공부해서 꼼꼼하게 검증하고 잘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노력해야겠다.

꼭 읽어보자 오브젝트
'야놀자 테크스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백엔드 개발 부트캠프 - 2차 토이 프로젝트 회고 (1) | 2023.11.01 | 
|---|---|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백엔드 개발 부트캠프 - 1차 토이 프로젝트 회고 (0) | 2023.09.15 | 
| [패스트캠퍼스] Spring 강의 수강 후기 (1) | 2023.08.30 | 
| 패스트캠퍼스X야놀자: 백엔드 개발 부트캠프 - Java 1차 과제 회고 (0) | 2023.08.28 | 
| [야놀자 테크스쿨] 계획 (0) | 2023.07.25 |